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복권 구매자 10명 중 7명 … 월소득 300만원 고소득자

복권 구매자 10명 중 7명 … 월소득 300만원 고소득자

포스트 제어

쓰기 | 수정 | 삭제 | 이동 | 메일 | 인쇄

복권은 여러 개의 얼굴을 가졌다. 도박이란 비판부터 기부라는 칭송까지 다양하다. 저소득층 주머니를 털어 나랏돈을 마련한다는 뜻에서 ‘가난한 자의 세금’이라 불리기도 한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가 16일 ‘그렇지 않다’는 취지의 설문조사 결과를 내놨다.

 이에 따르면 복권 구매자 10명 중 7명(69.4%)은 월소득이 300만원 이상 계층이다. 2008년 첫 조사(50.4%) 때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확 늘었다. 월소득 200만원 미만 계층의 비율은 9.5%였다. 또 응답자의 61.9%는 “복권이 있어서 좋다”고 답했다. 안병주 복권총괄과장은 “저소득층이 주로 산다는 속설은 지방 재정 확충을 위해 복권을 활용한 미국 얘기”라며 “한국은 30~40대 직장인이 주요 구매층”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성인 남녀 1013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그러나 아전인수식 해석도 있었다. 복권위는 복권 구입자의 76.5%(복수응답)가 복권을 재미로 사고 72.1%가 나눔 행위로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복권위는 “복권이 건전한 오락문화로 정착돼 가고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나 이는 복권을 산 적이 있는 응답자만 대상으로 한 결과다. 전체 응답자의 62.7%는 복권을 여전히 ‘일확천금을 쫓는 도박’이라고 평가했다. ‘어떤 게 사행성이 더 강하냐’라는 문항에서도 복권(3.7%)보다 주식(4.1%)이 더 사행성이 강하다는 결과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