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KT 휴대폰 가입자 개인정보…이번엔 심부름센터에 팔렸다

KT 휴대폰 가입자 개인정보…이번엔 심부름센터에 팔렸다

포스트 제어

쓰기 | 수정 | 삭제 | 이동 | 메일 | 인쇄

KT의 협력업체가 이동전화 가입자의 개인정보를 볼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심부름센터 등에 판매한 사실이 적발돼 경찰이 수사하고 있다.

 ‘통신공공성 확보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6일 성명서를 내고 “경찰이 지난달 개인정보 조회 프로그램을 만들어 불법 판매한 KT의 협력업체를 압수수색했다”고 주장했다. 이름을 입력하면 KT 이동전화 가입자의 휴대전화번호와 주소 등이 뜨는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심부름센터 같은 곳에 팔았다는 것이다. 공대위는 “그간 금융·통신·인터넷업체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내부자가 빼돌린 일은 수차례 있었지만 외부에서 개인정보를 볼 수 있는 프로그램까지 만들어 판 사건은 처음”이라고 했다. 이어 “이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KT 내부의 협조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KT 측은 "내부 협조는 전혀 없었다”고 반박했다. 공대위는 KT의 복수노동조합 중 하나인 ‘KT새노동조합’과 노동·시민단체들이 공동 결성한 기구다.

 공대위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경찰은 “KT 협력사를 압수수색한 것은 사실”이라며 “아직 수사가 진행 중이어서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다.

 KT는 앞서 지방자치단체 선거를 앞둔 2010년 5월 이동통신 가입자의 사전 동의 없이 선거 출마 후보자 133명의 홍보 문자메시지를 230만 명에게 발송했다가 같은 해 10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과징금 10억원을 부과받은 적이 있다. 방통위는 KT가 가입자의 개인정보인 전화번호를 무단 사용했다는 취지로 과징금을 물렸다. 당시 KT는 문자메시지 발송을 통해 3억원의 수익을 올렸다.